-
-
- 세계 최초 극저온에서 물 분자 나노 클러스터 형성 과정 밝혀내
- 고려대, 세계 최초 극저온에서 물 분자나노 클러스터 형성 과정 밝혀내▲ 제작된 플라즈모닉 나노칩의 전자주사현미경 이미지와 나노칩 기반 플라즈모닉 검출 시스템을 이용해 저온에서H2
- 2024.10.29 커뮤니케이션팀
-
게시글 리스트
-
-
고려대, 세계 최초 극저온에서 물 분자나노 클러스터 형성 과정 밝혀내▲ 제작된 플라즈모닉 나노칩의 전자주사현미경 이미지와 나노칩 기반 플라즈모닉 검출 시스템을 이용해 저온에서H2O상태를 측정한 이미지고려대학교(총장 김동원) 화공생명공학과 안동준 교수와 KU-KIST 융합대학원 김명기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나노미터 크기의 물(H2O) 분자 거동을커뮤니케이션팀 2024.10.29 35
-
-
고려대, 메조다공성 구조의 이황화몰리브덴으로 신개념 태양전지 개발 ▲ 메조다공성 구조의 MoS2를 전자 수송층으로 활용한 고효율 및 고안정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대한 모식도고려대학교 (총장 김동원)가 메조다공성(Mesoporous) 구조의 이황화몰리브덴(MoS2)을 전자 수송층으로 활용해 신개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. 본 연구 성과는 나커뮤니케이션팀 2024.10.25 44
-
-
고려대, 전통 종이 한지 에 신소재 맥신 더하기 웨어러블 스마트 섬유 소재 개발▲ 비대칭 구조 기반 다기능 스마트 섬유 (좌상단 에너지 수확 기능, 우상단 전자기파 차폐 기능, 좌하단 난연성 기능, 우하단 줄 가열 기능)고려대학교(총장 김동원) 기계공학부 최원준 교수 연구팀과 노스웨스턴 대학(총장 마이클 H. 쉴) 서병석 박사가 우리나라커뮤니케이션팀 2024.10.22 42
-
-
고려대, 국내 최고 수준 26.25% 높은 효율의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페로브스카이트의 새로운 표면 공정 기술 제시▲ Trimming Solvent에 따른 페로브스카이트 상부(위) 및 하부(아래)의 입자 간 층간 간격과 잔여 인장의 변화고려대학교(총장 김동원) KU-KIST 융합대학원 민한울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소속 강봉주 박사가 페로브스카이트커뮤니케이션팀 2024.10.21 63
-
-
고려대, 美 국립과학재단(NSF) 첨단 바이오 글로벌 센터 연구 프로젝트 선정 5년 간 총 50억 지원- 국내 자생 거대 홍조류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바이오 소재 생산▲ 고려대학교 전경 고려대학교(김동원 총장)가 지난 2일(수) 한국과 미국, 영국, 캐나다 등 4개국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미국 국립과학재단(NFS)가 주도하는 첨단 바이오 국제 공동 연구 프로커뮤니케이션팀 2024.10.15 70
-
-
고려대, 환경친화적인 건식 나노입자 코팅 기술 개발▲ Dry carbothermal 고려대학교(총장 김동원) 화공생명공학과의 문준혁 교수 연구팀이 기존과 달리 용액을 사용하지 않고도 나노입자를 탄소나노튜브에 고밀도로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. 본 연구 결과는 화학공학 분야의 국제적인 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(인용커뮤니케이션팀 2024.10.14 46
-
-
세계 최초 "누르면 투명해지는 광학 필름 개발"새로운 방식의 스마트 창문 시스템 제작 가능성 열어 ▲ 압축을 통한 투명도 조절 필름의 모식도고려대학교(총장 김동원) 신소재공학부 전석우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살짝만 눌러도 투과율을 큰 폭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스마트 창문 시스템을 보고했다. KAIST(총장 이광형)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커뮤니케이션팀 2024.10.08 70
-
-
고려대, '야누스 구조'를 가진 고밀도 리튬-황 전지 개발 ▲ 리튬-황 전지용 고성능 후막 전극(thick electrode)으로서 야누스 구조 필름의 개념도. 야누스 구조에서 리튬 이온의 전극내 균일한 확산과 안정적 충 방전 반응이 진행된다. 고려대학교(총장 김동원) 화공생명공학과 문준혁 교수팀이 에너지 밀도를 대폭 향상하는 야누스 구조의 리튬-황 전지를커뮤니케이션팀 2024.10.04 91
-
-
연구
차세대 유연 광전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기능 메시 투명 전극 개발고려대, 차세대 유연 광전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기능 메시 투명 전극 개발▲ (왼쪽부터) 김태근 교수 (교신저자, 고려대), Kiran A. Nirmal (제 1저자, 고려대)고려대학교(총장 김동원) 전기전자공학부 김태근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유연한 광전자 소자(OSC, OLED) 및 뉴로모픽 메모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기능 메시(Mesh)커뮤니케이션팀 2024.10.02 137
-
-
고려대,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한 고성능 유기 태양전지 최적화 기술 모델 발표▲ 머신러닝(Machine Learning, ML)을 통한 PM6 공여체 기반의 삼원계 벌크 이종접합 유기태양전지(OSC)의 전력변환효율(PCE) 분석 과정 개략도고려대학교 (총장 김동원)가 기계학습(머신러닝)을 활용해 유기 태양전지(Organic Solar Cells, 이하커뮤니케이션팀 2024.09.25 114